1. 상황 시나리오
최근 회사에서 쓰는 서버 몇 개를 갈아 치우면서 잉여로 쓰이던 고성능 서버를 스토리지 서버로 삼고 거기에 가상 서버까지 구축하는 작업을 했습니다.
예전에 쓰던 가상 서버는 vmware 였고 불법복제로 사용 중이었기 때문에 이번에 회사에서 구입했던 server 2008 r2에 포함된 hyper-v를 사용해서 불법복제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hyper-v로 가상 서버들을 옮기게 됩니다.
가상 서버들은 모두 윈도우 운영체제입니다.
2. 방법 선택
여러 방법을 시도하다 가장 좋은 효율을 보여준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직접 가상 서버 안에서 가상 서버 안의 하드디스크 전체를 vhd로 만든 다음 hyper-v 에서 띄우는 것입니다.
주의할 점은 기존에 vmware에서 운용 중인 가상 서버에 반드시 표준 IDE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vmware 에서 기본 값은 scsi 하드디스크 생성이기 때문에 대부분 가상 서버를 scsi로 생성하게 됩니다.
하지만 hyper-v 는 ide 만 지원하므로 반드시 기존 가상 서버에 ide 하드디스크 드라이버를 추가해주는 방식으로 ide 드라이버가 설치되도록 조치해야 합니다.
3. 도구 선택
웹 서핑 중에 찾은 제가 찾은 가장 좋은 도구는 "Disk2vhd v1.64" 입니다.
출처 : http://technet.microsoft.com/ko-kr/sysinternals/ee656415.aspx
4. 진행
4-1. 가상서버 안에서 Disk2vhd v1.64를 실행시킵니다. 그리고 가상서버의 하드디스크를 vhd로 만듭니다. 이 때 "Prepare for use in Vitual PC"을 체크합니다.
4-2. hyper-v는 VHDX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Use Vhdx"를 체크해제 합니다.
4-3. Disk2vhd 를 통해 만들어진 vhd 파일을 hyper-v 가 돌아가는 서버에서 접근할 수 있는 장치로 옮깁니다.
4-3. hyper-v 에서 새로운 가상 서버를 만들고 기존 vhd를 불러오는 옵션을 통해 만들어진 vhd 파일을 불러옵니다.
5. HYPER-V 셋팅
5-1. HYPER-V 에 새로 만들기 해서 저장된 VHD 파일을 불러옵니다.
5-2. 부팅할 때 멀티 부팅으로 "Disk2vhd ..."로 시작하는 항목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제 경험상 이쪽은 뭔가 이상합니다^^
hyper-v 용 통합 서비스 디스크가 설치가 안되고 무한 리부팅을 반복하는 오류가 있어서 멀티부팅에서 삭제하였습니다.
6. 총평
지금까지 10대 정도의 가상서버를 vmware에서 hyper-v로 전환해 본 결과 아무 이상이 없었습니다.
아직 멀티부팅으로 생기는 "Disk2vhd ..." 항목에 대한 의문이 풀리지 않았고 "Prepare for use in Vitual PC"이 어떠한 이득을 가져다 주는지 아직 모릅니다.
일단 의도한 대로 작동은 하기 때문에 특별히 알아보진 않았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께서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7. 물리서버의 hyper-v 로 이전
또, 이 방법으로 물리서버를 가상서버로 이전하는 것도 잘 됩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기기 업체들의 수리가격 횡포 (0) | 2016.11.08 |
---|---|
영화 "신이 보낸 사람"은 반기독교 영화이다. (104) | 2014.02.23 |
와콤 인튜어스 크리에이티브 스타일러스 사용 소감 (10) | 2013.10.02 |
밖에서 부르면 잘 따라오는 고양이 (0) | 2011.11.02 |
apmsetup,mysql,phpmyadmin 조합 상황에서의 mediawiki 사용자의 패스워드 변경(수정) 방법 (1) | 2011.03.02 |